2008년 11월 21일 금요일

난로 (Wood Stove)/수필

남편의 직장이 옮겨지고 현재 집을 구하기 전 1년 동안 아파트에서 살던 한 해, Thankgiving을 맞아 아리조나에 계시는 시어머님댁을 우리 식구 모두가 방문했다. 피닉스에서도 3-4 시간을 더 걸려 산으로 산으로 가면 해발 6000피트 되는 곳에 Lakeside라는 작은 도시가 나오는데 도시를 피해 산으로 가신 시어머니는 그 곳에 통나무 집을 짓고 사신다. 때는 늦가을이라 이미 온 도시는 두꺼운 눈에 쌓여 찬바람을 불어대고 있었다. 이틀 이상을 꼬박 운전해 온 터라, 그리고 미끄러운 산길들을 조심해서 오느라 지친 우리들은 따뜻하게 불을 밝히고 있는 난로 앞에 모이자 한순간 피곤이 사라져 버렸다. 밤중에 혹 우리가 추울새라 두어번 장작들을 더 넣어 주시던 시어머니. 그 때 처음으로 wood stove를 가까이서 접했는데 왜 그리 보는 순간 사랑에 빠졌는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내가 앞으로 집을 사면 기필코 wood stove를 넣으리라 다짐했다. 

3개월이 지난 다음 해 2월, 짓고 있는 자그마한 새 집을 사면서 다행히도 wood stove를 거실에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나무도 좀 사고 요리조리 불 때는 기술도 익혀가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던 어느 날, 난롯불을 들여다 보고 있던 나의 머릿속에 불현듯 지난 세월들이 지나가는 데 그 회상 속에서 나무타는 향내가 물씬 나는 듯 했다. 그랬다! 나는 이미 그 불꽃의 온도나 모습에 친숙해져 있었는데 그걸 잊고 살아왔던 것이다. 

돌아가신 친정 아버지는 맛에 까다로운 분이셨다. 내가 태어나서 고등학교 다닐 때까지 살아 온 부산의 초량동 집은 숲처럼 많은 집들이 들어선 동네 속에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부엌 부뚜막 위에 시골에서나 볼 수 있는 큰 무쇠 가마솥이 하나 걸려 있었다. 크기도 크기지만 무쇠 뚜껑이 얼마나 무거운 지 내가 한참 클 때까지도 뚜껑을 들 수가 없어 비스듬히 옆으로 밀어 열곤 했다. 끼니 때마다 그 솥에 밥을 짓고 노릿노릿 눌어 붙은 누룽지를 얇게 긁어내어 먹기도 하고 물을 부어 구수한 숭늉을 끓여 먹기도 했다.

7형제 중에서도 여섯째와 9년 떨어져 막내로 자란 나는 무쇠 솥의 온도로 데워진 부뚜막의 구석에 쪼그리고 앉아 엄마나 언니들이 불 때던 모습을 재미있게 지켜 보았었다. 하루는 엄마가 엄청나게 큰, 살아 움직이는 생선을 한 마리 사 오셨는데 가물치라고 하시면서 얼마 전에 해산한 큰 올케의 회복을 돕기 위해 요리할 것이라 하셨다. 유유히 물을 가르며 헤엄치는 그 생선을 들여다보는 것도 톡톡한 구경거리였지만 엄마가 어떻게 요리하실 지가 몹시 궁금했다. 그 이튿날, 내 기억에서 평생 지워지지 않는 그 생선의 최후를 지켜 보게 되었다. 먼저 무쇠 솥에 불을 잔뜩 지펴 아주 뜨겁게 달구신 후 조심스레 뚜껑을 열고 참기름을 한 번 휙 두르시더니 그 살아있는 생선을 재빨리 던져 넣고 뚜껑을 닫아 두 손으로 꼭 눌러 잡고 계신 게 아닌가! 그걸 지켜 보던 나의 가슴이 답답해왔다. 그 생선이 느낄 온도의 고통을 나도 일부 느끼고 있었다. 무서운 힘으로 솥을 쳐대던 소리가 점점 약해지고 조용해지면서 엄마도 뚜껑을 잡고 있던 손에서 힘을 뺐다. 잠시 후 나를 불러 한 그릇 먹어 보라고 권하시는 엄마의 손에는 누리끼리한 빛깔에 기름이 동동 뜨는 한 사발의 생선 곰국이 들려져 있었다. 나는 몸서리를 쳤다. 그것을 입에 넣을 수 있다는 사실이 믿어지지가 않았다. 그 생선이 얼마나 불쌍했는지 모른다. 그 후부터 뜨거운 가마솥 속의 가물치를 상상하면 그 뜨거움에 내가 괴로웠고, 그 가마솥을 보면 가물치가 보이는 것 같아 그 솥에다 하는 음식 먹기가 께름칙했다. 이제 생각해보면 고통중에 생선의 몸 속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인 아드레날린 때문에 어른들은 보약이 된다고 믿었던 것 같다. 개도 두들겨 잡아야 맛 있다고 하듯이. 

내가 고등학교 2학년 때 우리 식구는 도시를 벗어나 변두리 지역으로 이사를 갔다. 마당이 그리 넓지 않은 이층 집었는데 워낙 불 때기를 좋아하시는 아버지께서 대문간 옆에다 시멘트를 발라 아궁이를 만드시고 주물 공장에서 손잡이를 단 쇠문도 하나 주문해다 앞에다 달고 무쇠는 아니지만 큰 솥을 하나 사다 거셨다. 호기심으로 옆에서 들여다 보는 나에게 아버지는 불 지피는 법을 가르쳐주시고 불 지필 기회들도 주셨다. 아버지가 뒷산에서 잔뜩 긁어다 놓으신 마른 솔잎을 쏘시개로 해서 쇠문 아래의 불구멍을 돌로 조절해가며 나는 곧 어슬픈 기술자가 되었다. 매일 먹는 밥 뿐만 아니라 세숫물도 눈 깜짝할 사이에 준비되고, 명절이나 제사 때의 음식은 나물에서부터 생선 전까지 모두 군불 아궁이 위에서 마련되었다. 식사하시는 손심들은 다들 우리 집 음식 더 맛있다고들 했지만 나는 그 차이를 맛 볼 수 없었고 오로지 빨리 된다는 편리함에만 감동되었다. 아버지가 땔감과 쏘시개를 미리미리 여유있게 마련해 두셔서 아쉬움 없이 오랫동안 편리함을 누리던 그 집에서 나는 결혼해서 미국으로 오고 할아버지, 어머니, 아버지는 눈을 감으셨다. 강아지 한 마리도.... 

지금 난로 앞에 쪼그리고 앉아 불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냄새는 잘 새어나오지 않아 못 맡지만 불길 모양과 온도는 옛날 그대로다. 단지 그 아궁이와는 달리 현재 우리 집 난로는 앞문이 유리로 되어 있어서 불길 모양을 아주 가까이서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무 태우는 불길의 모양은 참으로 다양하고 아름답다. 늘 같은 모양과 색깔로 타 오르는 개스 불 모양과는 달리 공기의 양과 장작의 밀도에 따라 항상 다른 모습으로 허울댄다. 색깔도 다양해서 주로 보랏빛 불꽃에서 정금보다 밝고 맑은 황금빛까지 조금씩 다른 명도의 많은 색들을 볼 수 있다. 가끔씩 문을 열 때 새어 나오는 나무타는 향도 은은하다. 화학에 무지한 나에게는 나무가 산소와 함께 타 들어가며 이토록 강렬한 열을 내는 그 자체가 신비다. 

장작의 바깥에 붙어 있는 잔가지들로부터 시작해서 타 들어갈 때 나무 결의 반대 방향으로 곳곳에 골들이 먼저 생기고 조각 조각을 붙인 듯한 모자이크 형태를 잡은 후 거기서부터 깊이 타 들어 가는데 골마다 다른 모양의 잔불들이 파랑개비마냥 나풀거리며 올라온다. 세월이 가면서 깊어지는 인간의 지혜의 골 같기도 하고 해가 다르게 깊어 가는 얼굴의 주름살 같기도 하다. 나무는 혼자 타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나무덩이 한 개만 덜렁 쏘시개 위에 올려 놓으면 부루퉁한 색깔로 마지 못해 억지로 타면서 열도 적게 낼 뿐만 아니라 장작을 제대로 태우지도 않고 꺼저 버릴 때도 많다. 힘겹게 쬐끄만 불꽃 밑에 매달려 타는 장작에게 친구 삼아 몇 조각 나무를 더 넣어주면 금방 생기가 나고 얼마 안 있어 활활 타대는 모습을 보면 나의 조그만 도움으로 장작에게 큰 행복감을 안겨준 듯 해 마음이 뿌듯해지곤 한다. 

한동안 타고 나면 장작은 잿빛 가루를 덮어 쓴 황금으로 변한다. 아니 황금보다는 순수 형광 오렌지색 보석이라고 해야 더 어울릴 이름이다. 엷은 보랏빛 불꽃이 느린 속도로 여유있게 피어 오르면서 최대의 열기를 내는 때다. 

미국에서 그럭저럭 23년을 보내고 나니 고향의 동무들과도 점점 연락이 뜸해진다. 내가 떠나 온 빈 자리는 재빨리 메워지고 다들 바쁘게 살고 있으리라. 내 가슴 속에는 떠나 올 때의 그 정다움들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데... 그러나 여전히 변치 않는 따뜻함과, 같은 체취와 모습으로 나를 위로해 주는 한 친구! 다들 미국 생활이 외롭다고들 하지만 나의 화로 속에는 정다운 고향 친구가 있다. 바깥이 우중충하니 흐리고 비가 오는 둥 마는 둥 하늘만 가리고 있을 때 나의 벗은 더 밝게 살아나고 그 벗의 따뜻한 포옹에 나는 마냥 일어날 줄을 모른다.

2008년 11월 20일 목요일

제목 배경 사진에 관해서

저는 해마다 빠지지 않고 케일을 두어 종류 심습니다. 이 사진을 찍은 해에는 얼마나 잘 뜯어 먹었던지 기둥을 보시면 이해하실겁니다. 겨울 케일은 빨리 자라진 않지만 그냥 먹어도 달고, 양파와 마늘, 간단한 소금 후추 양념해서 물을 쬐끔 넣고 살짝 스팀한 후 올리브 오일 뿌려 뒤적여 먹으면 맛있습니다. 그리고 잎사귀의 대도 함께 드세요. 대가 연하기도 할 뿐더러 겨울에는 녹색 채소가 아쉽잖아요. 물론 밥 반찬으로는 어울리지 않겠지만 양식의 side dish로 좋습니다. 만약 한식을 드신다면 슴슴하게 만들어 식사 전에 한그릇 에피타이저로 드시고 밥을 드시면 좋을 것 같네요.

2008년 11월 19일 수요일

패턴으로 내 옷 만들기/정보




소박한 삶이라는 주제를 두고 첫 글을 대하니 언제부터 이 단어가 내 생활의 일부가 되었는지 지나 온 미국 생활을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 한국에서 올 때가 남편의 여름 방학 중이라 LA근처 사시는 시어머니(미국분) 집에서 여름 한 달을 보내게 되었다.

미국에 온 지 하루 이틀이 지나고 며칠이 되니 가정 수영장 청소를 아르바이트로 일하던 남편이 일을 가면 나는 할 일이 없었다. 지루한 참에 며칠 동안은 남편따라 그의 보스와 함께 집구경도 할 겸 일을 함께 갔었다. 그 덕에 영화에서나 보는 화려한 집 구경을 넉넉히 했다. 그 중 한 집은 산 꼭대기를 깎아 집을 지어 360도의 경치를 볼 수 있었는데 우리가 간 날은 파티 준비하느라 시중드는 사람들이 바쁘게 움직이고 있었다. 그래서 물론 수영장 청소도 필요했겠지만. 그 집에서 롤스로이스 차도 처음 보았다. 길 목에 그냥 내버려진 듯이 주차해 놓았던....

그렇게 시간을 보내고 있는데 시어머니가 날 보기가 안타까왔는지 하루는 나에게 재봉틀을 하라 사라고 하신다. 그러면 패턴을 사다가 옷 만드는 법을 가르쳐 주시겠다면서. 나도 뭔가 일거리를 갖고 있는 걸 좋아해서 대뜸 동의하고 손위 동서와 singer 재봉틀을 $199.99에 샀다. 요즘이야 한국에서도 시각적 효과를 얻기위해 같은 스타일의 가격들을 사용하지만 .99라는 가격 시스템을 처음 대면했던 날이었다. 시어머니는 나를 Fabric Land라는 가게로 데리고 가서 먼저 두툼한 패턴 북을 보고 마음에 드는 옷을 고르게 했다. 가게 중간쯤 찾아보면 두꺼운 책들이 테이블에 많이 늘어져 있는 곳이 있다. Vogue외 여러 회사에서 각 계절마다 새 패턴북을 내 놓기 때문에 새 책들이 나오면 그 전 책들을 $1-$2에 팔기도 한다. 나도 그런 책들을 사다가 집에서 여유있게 뒤져보기도 했었다. 그런 다음에는 패턴 번호를 보고 테이블 옆에 있는 서랍장에서 봉투에 든 패턴을 찾는다. 대개는 한 패턴에 여러 싸이즈가 그려져 있는데 내 체격에 맞는 패턴을 따라 가위로 잘라내면 된다. 자를 때 주의할 점은 삼각형이나 두 삼각형을 줄로 연결한 여러가지 부호들을 패턴의 일부로 남겨두면서 잘라야한다. 패턴 사용법이 단계별로 바느질 하는 법과 함께 한 장의 큰 종이에 그림과 함께 아주 잘 설명되어 있다. 천의 방향과 패턴의 위치는 설명서를 보면서 따라하면 된다. 그리고 패턴 봉투를 보면 추천하는 섬유 종류들도 나와 있고 옷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단추 싸이즈등등의 부재료들도 아주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난 그 때 하와이언 스타일의 여름 남방을 면으로 이틀 걸려서 만들었는데 시어머님께 칭찬을 많이 들었다. 말을 잘 못하지만 머리로 생각하는데는 이상이 없다는 것을 보여드리게 되어 뿌듯했다. 다행히 만든 옷이 내 몸에 잘 맞아 그 해 여름동안 잘 입었다. 셔츠 다음에 또 다른 프로젝트가 필요했을 쯤 남편과 함께 일하는 보스가 윈드서핑하는 보트의 찢어진 닻을 가져와 새 나일론 천을 사다가 똑같이 만들어 달라는 부탁이 들어왔다. 초보자에게는 엄청 부담스러운 일이긴 했지만 일단 해보기로 하고 나름대로 천을 골라 쉬이 미끄러지는 나일론천과 한참 씨름한 후에 겨우 완성을 하긴했다. 그때 수공이 많이 들었다면서 $250정도를 주셨는데 이제 생각해 보면 그 분이 가난한 우리 부부를 도와줄려고 그런 일거리를 찾아오지 않았나 싶다. 미국인들은 누군가를 도울 때 상대방에게 부담을 주지 않을려고 노력할 뿐 아니라 받는 처지가 부끄럽지 않도록 신중한 배려를 한다는 것을 그동안 살면서 종종 확인했다.

패턴과 옷감들을 살 수 있는 곳으로는 JoAnn Fabric, Hancock, Pacific Fabric 등이 과거의 Fabric Land와 비슷한 가게들이다. 물론 전화번호부의 뒷 쪽에 노란 종이로 되어있는 부분(고로 yellow page라 불리는 곳)을 보면 비지니스들이 종류별로 나와 있으므로 참고로 해도 되겠지만 인터넷에서 Fabric Store North Seattle (또는 당신이 사는 곳)라고 구글하면 (google.com에서 서치하는 것을 의미) 장소나 집에서 가게까지 가는 법를 지도로 확실하게 볼 수 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패턴북에는 다양한 옷들 뿐만 아니라 커텐, 가방, 여러가지 손으로 만들수 있는 craft 들도 많이 나와 있으므로 시간이 있고 바느질에 조금의 관심이 있으면 꼭 한번 뭔가를 만들어 보시길 권한다. 한국과 달리 특별한 강습을 받지 않고도 왕초보가 혼자서 옷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잘 준비된 자료들을 직접 경험해 보는 것은 미국 사회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하와이언 셔츠로 시작하여 가장 최근 작품으로는 제작년 딸아이의 프람(prom) 드레스가 되겠다. 007을 주제로 한 프람이라 딸은 거기에 어울리는 패턴을 고심해서 선택하고 금색으로 번쩍거리는 천과 그 외 필요한 지퍼와 안감, 그리고 실을 골라 $100을 쓰고 왔는데 나는 그렇게 거창한 옷은 처음 만드는 거라 엄청 마음을 졸였다. 시간 여유가 없어 16시간을 스트레이트로 만들고 세탁소가 가져가서 다림질을 부탁하고 찾아오니 딸애가 가야 할 시간이었다. 세탁소에서 다림질하는 아이디어는 아는 분이 주셨는데 나도 처음 배운 것이다. 세탁소에서 다림질을 하면 홈메이드 느낌이 싹 없어지고 반듯한 백화점 옷처럼 된다.

늘 그렇듯이 당시에는 고심하고 고생스러웠지만 지나고 나면 그만한 추억도 없다. 딸은 남은 평생 프람을 떠 올릴 때 마다 그 때 그 드레스, 그리고 밤새 재봉틀을 돌리던 엄마를 쉬이 잊지 않으리라. 그리고 그런 엄마의 모습이 내가 기억되고 싶은 모습이기도 해서 우린 함께 좋은 추억을 만든 것이다.